1. 성상
질소산화물에는 안정한 N2O, NO, N2O3, NO2, N2O5 등과 불안정한 NO3가 존재하며, 대기환경에서 문제가 될 만큼 존재하는 것들은 NO 및 NO2로, 통상 이들 물질을 대기오염 측면에서 질소산화물(NOx)이라 한다.
2. 급성, 만성 독성
2-1. 질소산화물은 식물보다 사람이 피해를 받기 쉽고, NO2는 NO보다 독성이 5∼10배 정도 강하나 도시 대기 중에 존재하는 정도의 저농도에서는 폐기능과 생리반응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으나 고농도에서는 점막을 심하게 자극하고 메타헤모글로빈을 형성, 기도와 폐에 영향을 준다.
2-2. 일반적으로 NO나 NO2는 단독으로 존재하기보다는 두 물질이 함께 존재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두 물질이 고농도일 경우는 눈과 호흡기 등에 자극을 주어 기침, 인두통, 현기증, 두통, 구토 등이 나타난다.
2-3. 노출량이 많을 경우 호흡촉진, 부정맥, 불안감이 나타나고 심하면 폐수종, 혈압상승 등이 나타나 의식을 잃게 되며, 저농도에 장기간 노출되는 경우에도 만성중독으로 기관지염, 폐기종, 위장병, 불면증 등을 일으키며 혈당의 감소 또는 헤모글로빈의 증가 등을 가져온다.
※ 로스앤젤레스 스모그
2-4. 주로 자동차로부터 배출되는 질소산화물과 탄화수소가 햇빛과 반응하여 생성되는 광화학스모그가 주된 원인물질로 이 지역은 지리적으로 서쪽이 태평양에 접해 있는 분지로서 연간 평균풍속이 2.8m/초이며 북태평양 동부에 반영구적으로 존재하는 고기압의 동쪽 끝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여름과 겨울에는 항상 침강성 역전층이 형성되므로 도시에서 발생한 오염물질이 상공으로 확산되지 못하고 축적되어 있으면서 강한 햇빛에 의해 광화학반응을 일으켜 스모그를 생성시킨다.
1940년, 미국 로스앤젤레스 지역에서 처음 발생하여 식물에 피해를 주었고, 1950년경에는 사람에게도 큰 피해를 준 대기오염사건으로 1954년부터 이곳 대부분의 시민이 눈, 코, 기도, 폐 등의 점막에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자극과 일상생활에 있어서 불쾌감을 호소하였으며, 가축 및 농작물에 피해를 주었고, 고무제품의 노화등 재산상의 피해도 크게 나타났다.
1955년에는 대기 중 오존농도가 0.5ppm을 기록하였으며,
1979년 가을에는 주민의 83%가 육체적으로 불쾌하거나 건강에 대한 불안을 호소하였으며, 조사에 의하면 주민 57%는 눈에 통증과 자극을 느꼈고, 4명 중 1명은 두통, 호흡기 자극, 인후염 등을 호소하였다.
3. 인체 노출량 관계
3-1. 질소산화물은 물에 녹지 않기 때문에 상기도를 통하여 호흡기의 심부에 도달해 폐점막을 해치고 폐조직에 염증을 일으켜 병원균에 대한 저항성을 약화시키며, 장기 및 조혈조직에도 영향을 미친다.
3-2. 질소산화물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농도 및 노출시간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질소산화물에는 안정한 N2O, NO, N2O3, NO2, N2O5 등과 불안정한 NO3가 존재하며, 대기환경에서 문제가 될 만큼 존재하는 것들은 NO 및 NO2로, 통상 이들 물질을 대기오염 측면에서 질소산화물(NOx)이라 한다.
2. 급성, 만성 독성
2-1. 질소산화물은 식물보다 사람이 피해를 받기 쉽고, NO2는 NO보다 독성이 5∼10배 정도 강하나 도시 대기 중에 존재하는 정도의 저농도에서는 폐기능과 생리반응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으나 고농도에서는 점막을 심하게 자극하고 메타헤모글로빈을 형성, 기도와 폐에 영향을 준다.
2-2. 일반적으로 NO나 NO2는 단독으로 존재하기보다는 두 물질이 함께 존재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두 물질이 고농도일 경우는 눈과 호흡기 등에 자극을 주어 기침, 인두통, 현기증, 두통, 구토 등이 나타난다.
2-3. 노출량이 많을 경우 호흡촉진, 부정맥, 불안감이 나타나고 심하면 폐수종, 혈압상승 등이 나타나 의식을 잃게 되며, 저농도에 장기간 노출되는 경우에도 만성중독으로 기관지염, 폐기종, 위장병, 불면증 등을 일으키며 혈당의 감소 또는 헤모글로빈의 증가 등을 가져온다.
※ 로스앤젤레스 스모그
2-4. 주로 자동차로부터 배출되는 질소산화물과 탄화수소가 햇빛과 반응하여 생성되는 광화학스모그가 주된 원인물질로 이 지역은 지리적으로 서쪽이 태평양에 접해 있는 분지로서 연간 평균풍속이 2.8m/초이며 북태평양 동부에 반영구적으로 존재하는 고기압의 동쪽 끝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여름과 겨울에는 항상 침강성 역전층이 형성되므로 도시에서 발생한 오염물질이 상공으로 확산되지 못하고 축적되어 있으면서 강한 햇빛에 의해 광화학반응을 일으켜 스모그를 생성시킨다.
1940년, 미국 로스앤젤레스 지역에서 처음 발생하여 식물에 피해를 주었고, 1950년경에는 사람에게도 큰 피해를 준 대기오염사건으로 1954년부터 이곳 대부분의 시민이 눈, 코, 기도, 폐 등의 점막에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자극과 일상생활에 있어서 불쾌감을 호소하였으며, 가축 및 농작물에 피해를 주었고, 고무제품의 노화등 재산상의 피해도 크게 나타났다.
1955년에는 대기 중 오존농도가 0.5ppm을 기록하였으며,
1979년 가을에는 주민의 83%가 육체적으로 불쾌하거나 건강에 대한 불안을 호소하였으며, 조사에 의하면 주민 57%는 눈에 통증과 자극을 느꼈고, 4명 중 1명은 두통, 호흡기 자극, 인후염 등을 호소하였다.
3. 인체 노출량 관계
3-1. 질소산화물은 물에 녹지 않기 때문에 상기도를 통하여 호흡기의 심부에 도달해 폐점막을 해치고 폐조직에 염증을 일으켜 병원균에 대한 저항성을 약화시키며, 장기 및 조혈조직에도 영향을 미친다.
3-2. 질소산화물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농도 및 노출시간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웰빙&로하츠 > 웰빙과 공기 & 음이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내용 공기정화기(무오존 음이온 발생기) (0) | 2007.03.05 |
---|---|
음이온실험-고양이-일본 자막 (0) | 2007.01.24 |
활성산소란? (0) | 2006.07.25 |
생활습관이 활성산소를 증가 시킨다 (0) | 2006.07.25 |
건강에 좋은 공기의 3대 조건 (0) | 2006.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