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덕트는 주로 고체나 기체를 수송 할수 있는 관이라 할수 있다. |
|
덕트는 오래전 부터 여러 종류의 형태로 우리생활에 밀접한 관계를 갖고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
|
경제 성장과 아울러 사람들은 생활 환경의 요구조건이 점점 쾌적한 조건을 요구하며 모든 공해로 |
|
부터 벗어 날려고 애를 쓰고 있다. |
|
이에 덕트는 공기조화의 현상을 만족시켜 생활의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여 주는데 큰 역활을 하고 있다. |
|
본장에서는 공기조화용 덕트의 공사적인면에 대하여 좀더 상세하게 언급코저한다. |
|
|
2. 덕트의 발전과정 |
|
|
덕트가 발전 되어온 과정은 특별히 언급된 내용이 없으며 국내외의 자료가 불충분하나 대략적으로 |
|
공법만 언급하고져 한다. |
|
우리나라에서 적용 또는 도입된 과정으로 부터 살펴 보면, 오랜옛날부터 사용되어온 아궁이에서 |
|
온돌판과 굴뚝에 이르기 까지도 한개의 열풍내연 덕트라고 할수 있다. |
|
실제적으로 공기조화용 덕트를 아연도강판(함석)을 이용하면서부터 최초에는 아연도강판(함석)을 |
|
가위로 절단하여 이음 부분에 납땜을 사용하였으며, 좀더 발전하여 수제작에 의한 SEAM(이음매)을 |
|
만들어 연결 하였으며, 덕트와 덕트의 연결을 L-형강을 이용하여 동리벳으로 접합하고 볼트,넛트로 |
|
체결하는 방법을 오랫동안 적용해 왔었다. |
|
국내 기술진들이 대외 사우디등 중동국가로 진출하면서 부터 80년대초에는 외국의 새로운 공법을 |
|
입수하여 BAR SLIP TYPE 이라고 불리우는체결공법 으로서 덕트의 SEAM도 기계를 이용하여 |
|
만들었으며 국내 최초로 덕트의 공장제작화가 시작되었다. |
|
현재에 이르러서는 CAM(Computer Aided Machine) system에 의하여 전공정을 computer에 |
|
의존하여 제작디어지는 공법으로서 국내 적용 시기가 일본이나 독일 보다 앞서 있는 상태이다. |
|
|
3. 덕트의 종류 |
|
|
덕트를 재질별로 개략적으로 구분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
|
3-1; 아연도 강판 덕트. |
|
|
건축 설비의 공조용 뿐만 아니라 가장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가공도 타재질보다 용이 하며 |
|
아연도금된 철판으로서 수명이 길어 경제적인 면에서도 좋다. |
|
크게 구분하면 원형과 각형 덕트로 구분할수 있지만 여러 모양으로도 제작이 가능하다. |
|
제작방법은 각 업체별로 차이는 있으나 적용법은 거의 대등하다. |
|
|
3-2; FIBER GLASS LINING DUCT(내부보온재 덕트) |
|
|
아연도 함석 덕트내부에 장섬유에 WOVEN RAYON으로 COATING된 제품을 접착제와 스폿트핀을 |
|
이용하여 자동화 기계에서 제작되어지며, 이 덕트는 흡음성능도 좋아 소음발생의 원인부분과 |
|
외부보온재의 단점을 보완한 신제품의 덕트이다. |
|
선진국에는 오래전부터 적용 되어지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점차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
|
|
3-3; RIGID BOARD FIBER GLASS DUCT |
|
|
이것은 경량화되고 제작 하기에는 편리하지만 내부비산과 습기에 문제점과 시공시 견고한 정밀성과 |
|
정교함이 요구되며 특히 접착제나 접착테이프의 선별이 공사의 질 수준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
이 덕트는 소형주택이나 관말부위의 적은 압력이 요구되는 부분에 적용이 가능하며, 현재 덕트공사의 |
|
적용율은 미비한 편이다. |
|
시공시나 시공후에 덕트의 많은 손상에 대한 사전 대책이 필요하다. |
|
|
3-4; 포리우레탄 알루미늄 덕트(POLY-URETHANE AL-DUCT) |
|
|
이 덕트는 아직 국내에서는 적용되고 있지 않지만 유럽에서는 소형PROJECT에서 주로 적용하고 있다. |
|
이 덕트는 포리우레탄 양측에 알루미늄판을 부착시킨 것으로써 건축에 사용되는 SANDOWICH PANEL과 |
|
흡사한 네품이다.(일명:PITRE DUCT SYSTEM 이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