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

 

실내공기질 관리 교육기반 강화

가. 현황

국내 실내공기질 교육과정

◦ 건축학과, 건축공학과, 건축설비학과를 개설하고 있는 대학

- 건축계획, 건축환경공학, 공기조화설비, 친환경 건축물 성능 및 설계 등의 교과목을 통하여 실내공기질에 대한 기초 교육 실시

- 학부에서는 실내공기질만을 위한 교과목을 개설하고 있지 않으며 대학원 이상에서도 전문 교과목을 개설하고 있는 대학은 소수

◦ 예방의학 및 보건관련 학과를 개설하고 있는 대학

- 위해성 평가, 리스크 관리, 측정개론 등의 교과목에서 실내공기질과 관련된 기초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음

◦ 한국실내환경학회에서는 향후 자격증 부여를 목표로 건축물의 실내환경관리사 교육을 실시 중

- 실내공기질에 대한 개론, 인체 유해성, 그리고 측정 분석에 관한 교육이 중심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나 건축물에서의 실내공기질 유지관리 방안에 대한 구체적 교육 콘텐츠가 부족함

□ 일본의 실내공기질 교육과정

◦ 학부과정에서는 건축학과를 중심으로 건축환경공학 관련 교과목에서 실내공기질 관련 기초 이론을 교육

- 대학원 이상에서는 실내공기질과 관련된 교과목을 개설

건강주택협회에서 교육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교육실시

 

□ 미국의 실내공기질 교육과정

미국 EPA주관하에 학생,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IAQ 문제와 환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영상 및 참고자료를 웹사이트에서 제공

- 웹사이트뿐 아니라 EPA에서 인가를 받은 기관에 보조금 지급 제도를 도입하여 교육을 확대 실시하고 있음

나. 문제점

실내공기질 교육을 주관할 수 있는 주체 필요

국내 실내공기질 관련 교육은 관련 학·협회, 대학으로 나뉘어 단편적인 교육만 이루어지고 있어 체계적 교육을 주관할 주체 필요

- 미국의 경우, EPA에서 주관이 되어 EE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어 체계적이고 지속적 교육이 가능함

- 일본의 경우 민간단체인 건강주택협회가 주관이 되어 자격시험과 교육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음

체계적 교육 프로그램 및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이를 주관하는 위원회, 주관센터 등의 주체 필요

□ 전문 교육기관 및 교육 콘텐츠 부재

◦ 일부 기관만이 제한된 정보제공 수준의 교육을 실시함에 따라 전문 교육기관을 지정하고 관리할 필요

◦ 교육내용도 대상(전공자, 일반인, 중고등 등)이 불명확하고 단편적인 내용만을 제공하고 있어 교육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콘텐츠 개발 필요

◦ 실내공기질 교육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는 기관을 지정․관리하고 교육대상별 콘텐츠 개발·보급과 이에 대한 지원을 통해 체계적인 교육 인프라 구축 필요

다. 개선대책

□ 실내공기질 교육 발전방안 연구('09)

실내공기질과 관련 시장수요에 적합한 전문인력 양성 및 일반인 의식제고를 위해 정규 교육과정을 포함한 중장기 발전방안 마련

□ 실내공기질 교육위원회 구성('10)

◦ 관련 학과 및 학회, 협회 등의 전문가를 중심으로 환경부 내에 실내공기질 교육프로그램 위원회 구성

- 위원회는 교육 대상에 따른 교육목표와 목표달성을 위한 교육 커리큘럼 및 학습성과(Performance Evaluation) 관리체계 등을 수립하고, 교육 기관을 지정·관리·감독함

□ 교육 프로그램 및 콘텐츠 체계화('10~'11)

초중고생, 일반인, 대학생, 전문가 등 교육 대상에 따른 교육프로그램 및 콘텐츠를 개발 추진

최신 연구성과 등을 활용한 교육 콘텐츠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정부 지원 체계 구축

- 지속적 교육 프로그램 및 콘텐츠 개발을 통해 향후 건축물의 설계, 유지관리, 에너지절약, 쾌적성 등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 보급

□ 실내공기질 교육 시행기관 지정('12~)

◦ 자격 조건을 갖춘 대학, 연구기관, 학회 및 협회, 정부기관 등을 실내공기질 교육 기관으로 선정·지정

- 지정 교육기관은 교육프로그램 위원회에서 제시한 기본적 교육 콘텐츠뿐만 아니라 실습 및 체험을 위한 조건을 갖추어야 함

 

 실내환경개선을 위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부분이 실내 공기질 관리이고,

실내 공기질 관리의 대부분은 적절한 환기 계획에 있고,

최적의 환기를 위해서는 실내 기류를 컨트롤 할 수있는 능력이 무엇보다도 중요하고,

실내 기류의 최적의 컨트롤을 위해서는 에어디바이스 선정이 무엇보다도 중요하고,

쾌적한 실내 기류 환경을 유지 하기 위해선,

실내 환경-사용목적-에 맞는 덕트 시스템의 설계능력이 무엇 보다도 중요하다고 봅니다.

물론 냉,난방과 습도 컨트롤은 기본이 되고,

공기청정 기법을 적용 할때도 에너지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시스템과 설계능력이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죠.

공기질 측정은 그리 중요한 업무는 아닐 것 이라고 생각 합니다.

공기질 측정 이후

어떻게 문제 해결을 위한  컨텐츠를 갖고 있는가? 가 더욱 비중을 두어야 겠죠...

이와 관련된 현장 실무 경험과 엔지니어링 능력을 갖출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되어야 겠습니다.

실내공기질이 아닌,

실내환경개선 전문가를 위한 전문 교육이 이뤄질 수 있기를 기대 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