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의 알고 있는 지식의 유효기간(?)이 그리 길지 않은 시대를 맞이 하고 있습니다.
사회 각 분야의 발전 속도가 너무 빠르기 때문이죠.
덕트 분야도 마찬가지 입니다.
덕트는 산업, 보건등 모든 분야에 없어서는 안되는 매우 중요한 설비 입니다.
관련산업의 새로운 기술과 규정, 가이드라인이 계속 개정 발전되고 있기 때문에,
전문가로써 전문지식의 학습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만,
그동안 경험과 노하우를 더욱 발전된 기술로 독자적인 기술체계를 갖춰야
비로소 전문가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덕트업에 종사하면서 부당한 대우를 받으셨습니까!
자존심이 많이 상하셨다면 꾸준한 학습외엔 길이 없습니다.
기능공이 아닌 기술자로써 전문가 대접을 받고자 한다면 상당 시간 노력과 투자를
게을리 해서는 안될 것 입니다,
'실내환경 & 환기 > 실내환경 덕트기술자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덕트기술자격제도 왜? 필요한가! (0) | 2009.08.31 |
---|---|
[스크랩] 고리원전, 신고리 3.4호기 시공사와 '원전인력 양성 양해각서' (0) | 2009.02.10 |
닥트설계실무교육 강의내용 및 순서 (0) | 2008.11.07 |
[스크랩] 제2회 덕트설계실무교육 협찬 (0) | 2007.06.15 |
제9차 덕트발전포럼 * 제1회 덕트설계전문가양성교육 후기 (0) | 2007.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