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위 제조사의 카타록 내용을 보면

[3401]=ND125 /[3501]=ND125 / [3601]=ND150 규격들은 슬롯 길이가 900L 일때 입니다.

슬롯 토출이 25mm 라면 [3601]모델에 해당되죠

이때 흡입구 직경을 보면 150 파이 입니다.

해당실의 용도별 토출 풍속대가 있죠.

소음레별 용도도 함게 고려해봐야 하는데

풍량이 절대 300cmh를 넘길수 없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그럼 아래 제조사 카타록을 보죠..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1. 치수표에서 보면

[361]모델= 25 토출구경, 흡입구경 150오발이 되죠

그럼 해당모델 성능표를 봅시다.

2. 성능표

(3)STL-360형 에서

STL-341에서-카타록제작시 오류인것같죠. STL-361로 표기되야 맞는데-

최대 풍량이 306CMH - 찾을수 있죠 (덕트설계강좌때 카타록 퍼포먼스데이타 보는법과 같습니다)

 

전압을 볼까요!   

12.7~8.7 이 됩니다. (압력손실이 대단하죠)

 

소음도 볼까요!

45~37 입니다. ( 원래 슬롯디퓨져(선형)는 소음을 고려해서 선정해야 합니다...

 

*** 결론 ***

현재 250 토출구에 2개, 25*1000,일때죠,-변경될수 없는 조건-

참바 토출구를 ND200로 무조건 해야겠죠. -수정가능한 부분- 절대 ND150로 하심 안됩니다-

 

*제8회 덕트설계강좌때

라인디퓨져 선정 부분도 하도록 하겠습니다...

 

라인참바 흡입구를 200파이로 하는것이 현재로써 할수 있는 최선책 입니다....

 

 

 

 

 

 

 

 

 

 

 




[담배 6개피를 50 평형 덕트 내부에 공급후 제거 하는 실험]

 

산소이온-클러스터이온-의 하이브리촉매의 산소 활성으로 오존의 발생없이

덕트내 오염물질 정화 살균하는 공기정화 장치 동영상 입니다.

 

 

 

 

 연구 실험실
 연구실험실에서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연구실험 과정에서 발생된 오염원에 의한 실내환경조건의  오염 방지다.
그것은 우선 재실자의 안전과 프로세스의 안정된 결과를 얻기 위함 에서다.
 
 연구실험실내의 청정도는 최소한 100,000Class는 유지 되어야 하며,
연구실험 목적에따라 크린벤치를 사용하면 1,000Class까지의 청정도를 얻을수있다.
  특히, 오염원(DUST.GAS.MIST, FUME) 발생 처리를 위한 방지설비의 규모은 정확한 값에 의해 최소한 으로 설계 되어야만  한다.
방지설비의 과다는 시설비용과 운전비용의 낭비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특히, 에어디바이스(AIR DEVICES)의 선정과 배치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기류가 형성 되기 때문에 연구 실험에 맞는 기류를 조성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앞으로는, 지금까지의 정형화된 연구실험실에서 탈피한 연구실험 목적에 맞는 연구실험실의 설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항온항습기가 만능인 줄 아는,

항온항습기의 설치가 연구실험실의 공조설비의 전부인 것으로 인식된 고정관념에서 유저들의 변화를 기대하며, 무엇보다도 성공적인 연구실험실의 완성은 항온, 항습, 제습은 물론 알맞은 기류와 적정한 실내압의 유지를 위한 완벽한 에어바란스에 있다.

 

동물환경생리시험동
환경생리시험동에서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CO2 조절이다.
설계 기준이 실내의 CO2 발생량이 얼마냐에 따라,
환기량을 결정.
환기량에 따른 냉,난방 부하 계산 및 장비 선정으로 가야 되기 때문이다.
 
 그밖에

밤과 낮의 조건을 위한 조도 조절장치.
사계절 모드로 조건을 위한 온,습도 조절장치.

특히, 중요한 것은

냉,난방 기류가 자연환경 조건에 최적의 상태로 컨트롤 되야 하며.

냉,난방 장비 및 가습 장비의 운전은 정숙 운전이 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겨울모드에서 야간 조건이라 할 때,

동물들이 숙면을 취할 수 있는환경이 아닐 때 받는 스트레스량이 만족할 만한 연구결과에 상당한 오류값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축산기술연구소. 농업과학기술원-

 

 

그린에어테크 식물조직배양실 공조 시스템의 특징

 기존의 식물 조직배양실의 가장 큰 문제점은

실내 온도차에 의한 패트리디쉬 내부에서 형성된 습을 제대로 처리할 수 없어, 패트리디쉬 내부에 결로현상으로 인한 배지내 배아가 썩어 들어 간다는 것이다.
또 조직배양실내의 상하 심한 온도차로 같은 실험결과를 얻을 수 없는 조건을 만들어 준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완벽하게 해결한
신개념, 신기술 조직배양실을 99년 9월 서울대 식물분자유전육종연구센터에
설치 가동중에 있다.

 1. 온,습도 및 풍량과 기류를 최적화 조절 가능.
 2. 여러 연구 목적에 적합한 최적 환경조건 연구자가 셋팅 가능.
 3. 별도의 공조실이 필요치 않아 시설비용 및 공간활용 우수.
 
이상의 신기술, 신개념 조직배양실은 식물육종실험, 바이오 배아실험 등에

폭 넓게 이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