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 덕트시스템(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HVAC Design Build Pt 5 duct calculations  (0) 2010.11.18
HVAC Design Build P4 Duct Calculations  (0) 2010.11.18
HVAC Design Design Build P 3  (0) 2010.11.18
Design Build P2   (0) 2010.11.18
[스크랩] 덕트 시스템 일반 (1)  (0) 2010.08.23

HVAC 업계가 기형적인 성장의 폐해가

Ventilation 과 Air-Conditioning 의 우선 순위의 잘못됨에 기인 한다는 것이 라는 점...

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단순한 기능공이 아닌

엔지니어링 가능한 기술인이 되어야 극복될 수 있다고 생각되어

실무 교육을 실시 하게 되었고...

개인적으로 준비해오던 일들이

예상외로 재미있는 결과가 나올것 같은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어

매우 고무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던 것인데...

교육을 진행해 오면서

나름 최선을 다했다는 점으로 위안을 삼았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의욕이 넘치는 후배들의 학습에 대한 열의에 워크샵을 구상하게 되었고

교육때 진행 하지 못했던 시장의 변화와 트랜드에 어떻게 대응 할 것인가! 란

화두를 던저 봄으로써

각자의 현 위치를 돌아보고,

무엇을 준비해야 될 것인가!...

개인적으로 준비하고 있는 솔루션은

다음 워크샵때 기회가 되면 소개 하기로 생각하고 있어

제2회 IEQ Membership Workshop 속히 진행 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 입니다.

 

오늘 오전에 카메라를 찾으러 펜션과 식당을 방문 하였지만

별다른 소득없이 돌아와야 했습니다.

저의 부주의로 여러분들과 함께한 소중한 시간의 기록을 잃어 버리게된 점

매우 송구스럽게 생각 합니다.

 

암튼,

우리는 새로운 장을 향한 첫걸음을 확실히 내딛은 것은 분명 합니다.

다 함께 열심히 노력해서 미래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는 승리자가 되시길 바랍니다.

 

어려운 여건을 마다 않고 함께 해 주신 울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2010년 10월 18일 덕트사랑  윤흥수  

 

 

 

지난해 전국 다중이용시설의 3.4%가 실내공기질 유지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2009년도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점검>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이날 발표된 내용에 따르면, 점검 대상시설 1,514곳 중 52개소(3.4%)의 실내공기에서 기준치 이상의 오염물질이 측정됐다.




기준치를 초과한 시설로는 ‘보육시설’이 20개소로 가장 많았다.

‘의료기관’이 18개소로 뒤이었다.

다음으로

▲대규모 점포 5개소

▲산후조리원 3개소

▲목욕장 2개소

▲미술관 2개소

▲실내주차장 1개소

▲장례식장 1개소 등이었다.

특히, 보육시설과 의료기관의 경우, ‘총부유세균’에 의한 오염이 각각 16건 13건으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미세먼지’의 경우, ▲실내주차장 ▲지하역사 ▲버스터미널 등의 순으로 오염도가 높았다.

‘폼알데하이드’는 전시품의 영향이 큰 미술관과 박물관 등에서 높게 측정됐다.

환경부 공고 제2010-244호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입법예고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 시행령」을 일부 개정함에 있어 그 개정
내용과 취지를 국민에게 미리 알려 의견을 듣고자 「행정절차법」제41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2010년 8월 23일
환 경 부  장관

 

1. 개정 이유

   법의 적용대상이 되는 다중이용시설을 확대하고, 위반행위의 종류별 과태료 부과
기준을 신설하려는 것임.
 

2. 주요 내용

  가. 영화관, 호텔, 학원, 전시장, PC방 등을 법의 적용대상 다중이용시설에 추가
        (안 제2조)
  나. 현재 환경부 예규로 정하고 있는 과태료 부과기준을 시행령에 규정하고 금액을
        합리적으로 조정(안 제4조 및 별표)
 

3. 의견 제출

    이 개정안에 대하여 의견이 있는 기관, 단체 또는 개인은 2010. 9. 13까지 다음
사항을 기재한 의견서를 환경부 장관(참조 : 생활환경과장)에게 제출하여 주시기
바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환경부 홈페이지(http://www.me.go.kr, 법령마당 ⇒
입법예고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가. 입법예고 사항에 대한 항목별 의견(찬반 여부와 그 이유)
  나. 성명(법인·단체의 경우 그 명칭과 대표자의 성명), 주소 및 전화번호
  다. 기타 필요사항

 ※ 보내실 주소 : 427-729 경기 과천시 관문로 88 정부과천청사 환경부 생활환경과
           (전화 : 02-2110-6909, 팩스 : 02-504-5472, 이메일 : aizim99@korea.kr)

//

       ◈ 제20회 [STEP-1]덕트설계실무교육 초급과정 ◈       

 

교 육 목 적

덕트 기술자격제도 실시와

EHVAC 실무자들의 엔지니어링 능력 배양을 위한 실무교육

 

교 육 개 요

실내공기질 개선능력과 실내환경 덕트디자인을 위한 기초 설계 이론과 실무 교육

 

교 육 대 상

카페 [덕트사랑] 現 정회원 이상으로 출첵,댓글 30회 이상인 회원

수강자격 : 실명과 함께 지역+생년으로 수정하신 회원

  

강의 일정

 매월 희망신청자 5명이상 일때 별도 공지 실시 예정

-         일 시 : 날짜 별도공지(토요일) 09:10~18:00

-         강 사 : 윤 흥 수

-         수강료: 250,000원 (덕트칼쿠레토/덕트설계자료/중식포함)-재수강 100,000원

-     원 : 10명(재수강포함) 

 

강의내용   

순서

  

   

        

1.

09 : 10 ~ 09 : 30

접 수

출석 및 강의 자료 수령

2.

09 : 30 ~ 10 : 30

덕트설계개론

덕트의 기원과 국내 덕트역사

실내환경 기류의 이해

3.

10 : 30 ~ 12 : 00

풍량계산과 송풍기 선정

압력의 이해(전압=정압+동압)

송풍기 종류별 특성과 동력계산

4.

12 : 00 ~ 12 : 40

12 : 40 ~ 13 : 00

중 식

동영상

점심 시간

클러스터음이온과 오존의 인체영향

5.

13 : 00 ~ 15 : 00

에어디바이스 선정과

덕트시방

에어디바이스 선정 차트의 이해

덕트설계 기준요소

6.

15 : 00 ~ 15 : 20

휴 식

 

7.

15 : 20 ~ 17 : 30

덕트규격선정

마찰손실도표를 이용한 덕트선정

칼쿠레토를 이용한 덕트선정

국부저항과 정압계산

8.

17 : 30 ~ 18 : 00

질문과 답변

덕트설계 실무

 

강사소개

-다음카페 [덕트사랑] 운영자

-1999년 국내최초 신기술 신개념 식물조직배양실 설계,시공–서울대 식물분자유전육종연구소-

-2006 국내최초 노동부 고용환경 개선 지원사업 전체환기 설계시공 – 대승정밀㈜

-공기청정협회 주최 국제클린에어텍 2004/2005/2006년 참가

-2007년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급기 배관(덕트 & 디퓨져) 발명특허등록

-현 그린에어테크 대표

 

신청 방법  

아래에 참가 희망 회원님들은 간단한 교육신청 사유와 함께 아래에 댓글로 신청 하시면,

 개별로 신청서를 ...@hanmail.net 메일로 보내 드리고,

 첨부 신청서를 이메일로 접수 하시면 됩니다.

 

신청 기간

 

 

수강 장소

 

 

신청자 5명 이상 일때 별도 공지 합니다.

-접수기간내 신청자 5명 미만이면 다음 달로 연기 됩니다.

 

아산역(전철 1호선) 5 회의실 

천안아산역(KTX역사)와 함께 위치 합니다.

부산, 광주 에서는 KTX로 천안아산역에서 내리시면 됩니다-아산역 회의실까지 150M-

서울,경기에서는 새마을, 무궁화, 1호선 전철 모두가능

차량 이용시 역사 종일주차 7,000원

-오시는길은 별도로 공지토롤 하겠습니다.

 

수 방법

 

참가를 원하시는 회원님들은 참가비를 접수기간 내에 신청서에 계좌로 입금후

 참가 신청서를 작성  이메일로 보내주신후 아래 댓글 확인 바랍니다.

1.덕트의 개요
  덕트는 주로 고체나 기체를 수송 할수 있는 관이라 할수 있다.
  덕트는 오래전 부터 여러 종류의 형태로 우리생활에 밀접한 관계를 갖고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경제 성장과 아울러 사람들은 생활 환경의 요구조건이 점점 쾌적한 조건을 요구하며 모든 공해로
  부터 벗어 날려고 애를 쓰고 있다.
  이에 덕트는 공기조화의 현상을 만족시켜 생활의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여 주는데 큰 역활을 하고 있다.
  본장에서는 공기조화용 덕트의 공사적인면에 대하여 좀더 상세하게 언급코저한다.
   
2. 덕트의 발전과정
  덕트가 발전 되어온 과정은 특별히 언급된 내용이 없으며 국내외의 자료가 불충분하나 대략적으로
  공법만 언급하고져 한다.
  우리나라에서 적용 또는 도입된 과정으로 부터 살펴 보면, 오랜옛날부터 사용되어온 아궁이에서
  온돌판과 굴뚝에 이르기 까지도 한개의 열풍내연 덕트라고 할수 있다.
  실제적으로 공기조화용 덕트를 아연도강판(함석)을 이용하면서부터 최초에는 아연도강판(함석)을
  가위로 절단하여 이음 부분에 납땜을 사용하였으며, 좀더 발전하여 수제작에 의한 SEAM(이음매)을
  만들어 연결 하였으며, 덕트와 덕트의 연결을 L-형강을 이용하여 동리벳으로 접합하고 볼트,넛트로
  체결하는 방법을 오랫동안 적용해 왔었다.
  국내 기술진들이 대외 사우디등 중동국가로 진출하면서 부터 80년대초에는 외국의 새로운 공법을
  입수하여 BAR SLIP TYPE 이라고 불리우는체결공법 으로서 덕트의 SEAM도 기계를 이용하여
  만들었으며 국내 최초로 덕트의 공장제작화가 시작되었다.
  현재에 이르러서는 CAM(Computer Aided Machine) system에 의하여 전공정을 computer에
  의존하여 제작디어지는 공법으로서 국내 적용 시기가 일본이나 독일 보다 앞서 있는 상태이다.
   
3. 덕트의 종류
  덕트를 재질별로 개략적으로 구분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3-1; 아연도 강판 덕트.
  건축 설비의 공조용 뿐만 아니라 가장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가공도 타재질보다 용이 하며
  아연도금된 철판으로서 수명이 길어 경제적인 면에서도 좋다.
  크게 구분하면 원형과 각형 덕트로 구분할수 있지만 여러 모양으로도 제작이 가능하다.
  제작방법은 각 업체별로 차이는 있으나 적용법은 거의 대등하다.
   
3-2; FIBER GLASS LINING DUCT(내부보온재 덕트)
  아연도 함석 덕트내부에 장섬유에 WOVEN RAYON으로 COATING된 제품을 접착제와 스폿트핀을
  이용하여 자동화 기계에서 제작되어지며, 이 덕트는 흡음성능도 좋아 소음발생의 원인부분과
  외부보온재의 단점을 보완한 신제품의 덕트이다.
  선진국에는 오래전부터 적용 되어지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점차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3-3; RIGID BOARD FIBER GLASS DUCT
  이것은 경량화되고 제작 하기에는 편리하지만 내부비산과 습기에 문제점과 시공시 견고한 정밀성과
  정교함이 요구되며 특히 접착제나 접착테이프의 선별이 공사의 질 수준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덕트는 소형주택이나 관말부위의 적은 압력이 요구되는 부분에 적용이 가능하며, 현재 덕트공사의
  적용율은 미비한 편이다.
  시공시나 시공후에 덕트의 많은 손상에 대한 사전 대책이 필요하다.
   
3-4; 포리우레탄 알루미늄 덕트(POLY-URETHANE AL-DUCT)
  이 덕트는 아직 국내에서는 적용되고 있지 않지만 유럽에서는 소형PROJECT에서 주로 적용하고 있다.
  이 덕트는 포리우레탄 양측에 알루미늄판을 부착시킨 것으로써 건축에 사용되는 SANDOWICH PANEL과
  흡사한 네품이다.(일명:PITRE DUCT SYSTEM 이라 한다.)
  제작방법은 RIGID BOARD DUCT와 같으며 제작, 시공 역시 정밀과 정교성이 요구되며 접착테이프 질적
  수준에 따라 시공의 질을 가름한다.
   
3-5; FLEXIBLE DUCT
  알루미늄 호일이나 GLASS CLOTH을 사용하여 내부에 강선을 나선식으로 삽입하여 제작된 덕트로써,
  길이에 신축성을 요구하는 곳에 많이 적용된다.
  이 덕트는 주로 덕트 기구의 연결용이나 각종 공사시 가설용 배기덕트로 많이 사용된다.
   
3-6; 기 타
  PVC, FRP, 스테인레스 덕트등 재질의 덕트는 주로 화학약품 제조 장소나 습기에 의한 부식이나 정화조배기
  등에 적용된다.
출처 : 덕트사랑
글쓴이 : 碧潭(벽담) 원글보기
메모 :

'자료실 > 덕트시스템(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HVAC Design Build Pt 5 duct calculations  (0) 2010.11.18
HVAC Design Build P4 Duct Calculations  (0) 2010.11.18
HVAC Design Design Build P 3  (0) 2010.11.18
Design Build P2   (0) 2010.11.18
Design Build P1.wmv   (0) 2010.11.18
출처 : 중년의 사랑 그리고 행복
글쓴이 : 천상으로초대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