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문별․년도별 투자소요(정부)

2차 기본계획 기간(2009~2013년) 동안 실내공기질 관리체계․역량 발전 및 실내공기질 관리제도․기술기반 강화를 위한 40개 세부 추진과제 이행에 1,142.5억원이 소요

분야별로는 공기질 관리 선진화 분야가 800.3억원으로 가장 많이 소요되며, 이중 638억원은 지하역사 공기질 개선을 위해 투자

- '07년 기 수립된 석면 및 라돈관리대책 추진, 미생물 실태조사 등 건강영향이 큰 물질 관리를 위해서도 119.3억원 투자 예정

- 환경성 질환 관리 등 건강영향 사전관리를 위해 140억원

년도별로는 '09년부터 '13년까지 5년간 40개 실내공기질 관리 세부 추진과제 이행에 필요한 재원소요액 1,142.5억원 중

- '09~'11년까지 947.4억원, '12~'13년까지 195.1억원 투자

< 부분별․년도별 투자소요 >

( 단위 : 억원 )

사업 구분

년도별 투자 소요액

총계

'09

'10

'11

'12

'13

실내공기질 관리체계․

역량 발전

공기질 관리 선진화

800.3

174.3

281

280

35

30

오염원 관리 확대

46.8

7.8

9

12

10

8

환기․공기정화설비 관리체계 구축

17.5

0.5

5

5

7

0

건축물 전생애 관리

10.5

0.5

4

4

2

0

건강영향이 큰 물질 관리

119.3

19.3

30.5

26.5

22.5

20.5

건강영향 사전관리

140

24

28

30.5

30.5

27

실내공기질 관리제도․기술기반 강화

8.1

1.4

1.8

2.3

1.8

0.8

총계

1142.5

227.8

359.3

360.3

108.8

86.3

※ 동 투자계획은 추후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 환경개선특별회계 재원 확충

◦ 환경개선부담금 등의 부과대상, 항목, 요율 등의 현실화를 통해 환경개선특별회계 재원 확충

□ 환경성질환 대책기금 조성추진 및 적극 활용

유독물에 대한 일정액의 부담금을 부과, 재원조성을 통해 환경성질환 대책기금 조성 추진

◦ 환경성질환 대책기금 중 환경성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실내공기질 관리 대책에 대한 투자 확대 유도

□ 석면 배출시설 부담금을 신설, 석면피해 대책기금 조성

석면관련 배출시설에 대해 일정액의 부담금을 부과하여 환경성 석면피해 예방 및 피해자 구제대책 추진을 위한 재원을 조성 추진

- 국가, 지방자치단체외에도 일정 요건에 해당하는 사업주에 대해 석면피해 구제 재원 마련을 위해 출자금 부가

 

< 일본의 기금마련 예 >

 

 

 

◈ 국가, 지방자치단체와 사업주가 분담

◈ 전체 사업주에 대해 ‘산재보험징수 시스템’을 활용하여 부과

- 사업주 규모에 따라 차등 부과

- 석면과 관련이 깊은 사업주는 추가 부과

 

 

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

주목할 대목은

"실내공기질 관리제도․기술기반 강화"에

2009년~2013년까지 8.1억원이 투입되고,

올해(2010)와 내년(2011)사이에 절반인 4.1억원이 집행 된다는 점 입니다.

다시 말해서 내년까지 기본적인 실내공기질 제도와 기술기반 강화를 거의 끝낸다는 것이지요.

암튼, 앞으로는 부지런한 학습만이 새로운 정부정책으로 형성될 시장에 참여 할 수 있게 된다는 것 입니다.

법과 제도가 정비되어야 제대로된 사업으로 발전 할 수가 있는데,

소비자와 관련법과 제도가 준비된 시장에서 열심히 노력하셔서 큰 성과를 이루시는 계기가 되시길...

 

3-1

 

실내공기질 관련 산업 활성화

가. 실내공기질 관련 산업현황

□ 실내공기 오염물질 발생저감 분야

◦ 오염물질을 적게 방출하는 친환경건축자재에 대한 수요 증가로 관련 시장규모는 매년 급속히 성장

- 친환경 건축자재로 인증을 받은 제품('08.6월 기준)은 환경마크가 704개, HB마크 622개임

실내공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가구, 전기․전자제품 등 생활용품의 오염물질 저방출 제품 보급 초기단계임

□ 실내공기 오염물질 제거 분야

국내 공기청정기 시장은 약 5,000억원 규모로 이중 대부분(약 80%) 한국공기청정협회의 CA인증을 획득

공동주택 환기기준 마련 및 주택성능등급표시제 시행으로 열회수 환기장치를 중심으로 시장이 확대되고 있으며, 최근 에너지고효율 제품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

□ 실내공기 오염물질 측정 및 개선 서비스 분야

국내에서 사용되는 실내공기질 측정분석 기자재의 경우 대부분 수입

- 형식승인을 획득한 측정기기 30개 중 국산제품은 2개(6.7%)

- 오염물질 채취․분석을 위한 흡착관, 시약 등의 재료는 대부분 수입

실내공기질 측정대행업체로 45개 업체가 등록되어 있으며, 주로 다중이용시설과 신축공동주택의 공기질 측정업무 수행

나. 문제점

□ 기후변화문제 대응을 위한 기술개발 및 산업활성화 전략 부재

◦ 실내공기질 개선에 기여하는 동시에 기후변화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관련 기술개발 및 산업 활성화 지원 부재

□ 실내공기 진단·개선 서비스업 취약

현재 국내에는 실내공기질 진단․개선을 위한 컨설팅 전문인력이 부족하여 실내공기질 측정․평가만 실시하고 있는 상황

- 측정결과에 따라 오염원 확인 및 제거방법, 건축물 개·보수 방안 등 실내공기질 관리에 관한 컨설팅 서비스업 취약

□ 실내공기 오염물질 측정분석기기의 국산화 미비

폼알데하이드, 휘발성유기화합물, 라돈, 석면과 같은 실내공기 오염물질에 대한 측정기기 국산화를 위한 연구개발·산업화 미비

- 휴대용 VOC분석장비, 라돈측정센서 개발 등 부분적인 지원만이 이루어졌으며 개발된 기술의 산업화도 미약

□ 시장 활성화 및 수출 전략 미흡

실내공기질 개선과 관련된 제품의 품질 향상 및 시장 확대를 위한 관련 인증제도 활성화 대책 부재

- 제품규격 제정 및 개선, 소비자와 생산자간 정보유통 강화, 공공기관 조달 인센티브 부여 등 대책 마련 필요

실내공기질 관련 산업의 수출 활성화를 위한 전략과 지원 부재

- 해외시장 정보제공, 국내제품의 해외홍보, 개도국 대상 실내공기질 개선 지원 등 수출 활성화를 위한 정부차원의 전략 필요

 

다. 개선대책

기후변화대응 및 녹색성장을 위한 기술개발 지원

실내공기질 분야 녹색기술 개발을 위해 차세대 핵심환경기술개발사업 등을 통해 기술개발 연구 지원

 

<실내공기질 분야 녹색기술(예시)>

 

 

 

◈ 실내공기질 개선을 통해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동시에 에너지 소비 절감을 통해 기후변화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술

실내공기 오염물질 저감 기능성 건축자재

② 오염물질 저방출 건축자재 및 생활용품

③ 에너지고효율 환기설비

④ 지능형 환기시스템

⑤ 고품질 현장측정기기 등

실내공기 진단․개선 서비스업을 실내환경분야 신성장동력으로 육성

경제발전과 늘어나는 환경성질환으로 깨끗하고 쾌적한 실내공기질에 대한 국민욕구 증가에 맞춰 「실내공기질 진단․개선 서비스업」을 녹색성장을 위한 실내환경분야 신성장동력으로 육성

- 전문인력 양성, 기술매뉴얼 개발․보급, 산업기반 조성을 위한 시범사업 확대 운영 등 육성방안 마련

 

<실내공기질 진단․개선 서비스업 육성방안>

 

 

 

◈ 실내공기질 진단․개선 서비스업 육성을 위한 5가지 중점 추진 사업

실내공기질 진단․개선 컨설팅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교재․프로그램 개발운영

② 진단․개선 기술매뉴얼 개발․보급

③ 산업기반 조성을 위한 시범사업 확대․운영

④ 실내공기질 관련 신기술 정보제공 서비스

⑤ 인식도 제고를 위한 실내공기질 진단․개선 사업 적극 홍보

 

□ 실내공기질 측정기기 국산화 개발 지원

수동형 라돈측정기기, 석면 분석 장비와 같은 오염물질 측정기기 국산화를 위한 기술개발 지원 및 분석용 표준물질 개발

휘발성유기화합물, 폼알데하이드 등 간편한 현장 측정장비 개발 지원 등

□ 친환경·고품질 인증제도 활성화

기준 개발 지원 등 관계기관과의 협력증진을 통해 인증제도 대상 제품군(기능성 건축자재, 에어필터, 생활용품 등) 확대

인증기준 개선 및 사후관리 감독강화를 통해 인증제도의 신뢰성 확보

◦ 인식도 제고를 위한 국내외 홍보 강화 및 해외 상호인증 추진

◦ 공공기관 조달시 인증제품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 등 보급 지원

< 실내공기질 관련 인증제도 현황 >

인증제도

구분

인증기관

인증항목

인증대상품목

환경마크

국가인증

환경부

- 환경관련기준: 유해물질 함유량·방출량

- 품질관련기준

- 페인트, 벽지, 프린터, 교육용 목재가구 등 28개 제품군

HB마크

단체 품질인증

한국공기 청정협회

- 휘발성유기화합물 및 폼알데하이드 방출량

- 실내사용 건축자재

CA마크

단체 품질인증

한국공기 청정협회

- 제품성능(풍량, 소음, 집진, 탈취, 오존발생 등)

- 실내용 공기청정기

KARSE 성능인증씰

단체 품질인증

한국설비 기술협회

- 제품성능(풍량, 누설률, 열교환효율, 소음 등)

-폐열회수환기유닛, 정풍량 욕실 환기팬

□ 수출 활성화 지원

◦ 외국의 규제동향 및 시장 상황에 대한 정보수집 및 제공

◦ 해외 환경산업정보망을 활용 국내 관련 산업 홍보 확대

◦ 국가간 협력을 통해 개도국의 환경개선종합계획 수립지원시 국내 실내공기질 관련 정책·제도를 적극 알림으로써 수출기반 마련

3-2

 

기술개발 지원체계 개선

가. 현황

실내공기질 관련기술의 환경기술로드맵(TRM)상 분류

◦ 맑고 안전한 공기(대분류)분야 유해대기오염물질 관리기술(중분류) 세부항목중 ‘HAPs 및 실내오염물질 저감기술’로 분류

- 오염물질 저방출 소재기술, 실내공기오염 위해성평가, 측정분석 기술은 친환경소재·제품, 위해성평가·관리, 측정분석장비·장치 분야에 각각 반영

□ 「차세대핵심환경기술개발사업」선정 현황

◦ '04~'08년간「차세대핵심환경기술개발사업」으로 선정·지원된 실내공기질 관련 사업은 63개로 지원규모는 약 121.5억원임

- '04~'06년간 신규사업의 7.4%, 지원규모의 3.5%를 차지

년 도

2004

2005

2006

2007

2008

선정사업

(개수)

실내오염물질 저감

12

11

10

25

5

전체

199

92

115

 

 

지원규모

(억원)

실내오염물질 저감

25.7

18.2

16.4

52.7

8.5

전체

428

600

719

 

 

분야별 선정현황을 보면 측정분석 장비·장치 개발이 가장 많으며 실내공기질 개선, 친환경 제품·소재 개발 순임

- 실내공기질 개선 기술로는 시설별 환기설비, 촉매기술을 활용한 실내 오염물질 저감기술 등이 개발됨

환경기술 분류

2004

2005

2006

2007

2008

합 계

맑고안전한공기(실내공기질 개선)

4

5

2

5

2

18

유해성 평가·관리

3

0

0

1

2

6

친환경 제품·소재 개발

3

2

5

7

1

18

측정분석 장비·장치

2

4

3

12

 

21

나. 문제점

□ 실내공기질 관련 기술개발 과제의 낮은 지원비율

「차세대핵심환경기술개발사업」으로 선정·지원되는 과제중 실내공기질 관련 기술개발 과제비율이 낮음

- 환경기술로드맵 대분류, 중분류에 실내공기 오염물질 저감기술이 별도로 분류되어 있지 않아 체계적인 투자·지원을 유도하기엔 한계

실내 오염물질 자동제어 및 친환경적 지능형 환기시스템 개발과 같은 유망 실내공기질 관련기술의 실용화를 위한 대규모 투자 부재

- 대부분의 지원과제는 단기간의 개별기술 개발과제에 그침

◦ 환경기술로드맵 개선 및 선진화된 실내공기 오염물질 저감기술개발을 위해 장기간의 대형·통합과제 추진 필요

□ 실내공기질 관련 신기술 정보제공 미흡

◦ 개발된 신기술에 대한 정보제공 및 홍보 체계 미구축으로 기술 수요자와 생산자간 원활한 정보유통이 이뤄지지 못함

- 국내외 실내공기질 관련 기술개발 및 산업시장 동향에 대해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미흡

실내공기질 관련 기술개발정보 D/B구축 및 정보제공 서비스 실시 필요

다. 개선대책

□ 실내공기질 관련 환경기술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09)

환경교육, 기후변화 대응, 친환경 제품·소재 개발, 환경매체별 오염물질 저감, 측정분석장비·장치 분야를 포괄하는 실내공기질 관련 환경기술분류 및 중장기 육성방안 작성

 

환경기술로드맵 분류체계 개선

실내공기 오염물질 저감기술을 환경기술로드맵의 환경매체별 오염물질 저감기술에 반영

- 기술지도에서 분류하는 5개 환경매체(대기, 물, 폐기물, 하·폐수, 소음·진동)에 실내공기를 추가하는 방안 적극 추진

□ (가칭)「실내환경관리선진화사업단」추진

◦ 실내공기질 관리 선진기술 개발 및 실용화를 위해 Eco-STAR Project의 신규사업단 추진

- 실내 오염물질 자동제어 및 친환경적 공조설비 제작과 같은 선진기술의 실용화를 위해 환경·건축·기계분야 공학기술을 포괄하는 대형·통합 과제 추진

□ 실내공기질 관련 기술개발정보 D/B구축 및 정보제공 추진

◦ 차세대 사업으로 개발된 실내공기질 관련 기술에 대한 D/B구축 및 관련 산업계·학계·연구소 등에 제공 추진

관련 학·협회와의 협력을 통해 국내외 기술개발 및 산업시장동향 정보를 수집·제공하는 서비스 추진

□ 실내공기질 관련 신기술 홍보 강화

◦ 실내공기질 기술분야 종합전시회, 환경신기술 발표회 개최

- ICAT(국제클린에어텍) 등 각종 전시회, 국제심포지엄, 기술세미나 개최 또는 지원 추진

 

 ******************************************************************************************************************

1차 공기질 정책 시행후

관련학회나 업계를 중심으로 실내공기질 측정 분석 부분에 관련한 측정 인력교육과 측정장비에 치우쳐온 것이 사실이다.

기회가 있을때마다 되풀이 하는 주장이지만,

실내공기질을 측정 분석만 하고나서는 어떻게 할것인가에 대한 전문인력이 절대 필요하지

단순히 측정 분석하는 인력들은 단기간에 얼마든지 양성해 낼 수 있지만,

측정 분석 결가를 가지고,

다양한 실내환경에 알맞은 개선 방법을 컨설팅하고 엔지니어링이 가능한 실무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는 단기간에

양성해 낸다는 것은 불가한 일인 것이다.

현재로써 이런한 부분에 쉽게 접근가능한 전문가들은

공조분야에 실무와 엔지니어링 경험이 풍부한 인력들이 가장 단 기간에 전문가로 양성 가능하지 않나 생각 한다.

현장 실무 경험이 전혀 없는 이들은 백날 책상 머리 교육으론 다양한 실내환경을 접한 경험이 전무한 이들에겐

소 귀에 경 읽기라 아니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2차 공기질 정책 기간에 개선, 보완해 나간다는 이야기 인데,

대 늦은 감이 없지 않으나 그 나마 다행이 아닐 수 없다.

여기서 모두의 고민이 있다.

과연 내가 얼마큼 노력과 학습을 병행해야 실내환경개선전문가가 될 수 있겠는가.

아울러, 

다양한 실내환경에 맞는 처방을 내놓을 만큼 풍부한 실무 경험과 엔지니어링 능력을 갖추고 있는가? 

    

 

 

 

 

6-1

 

실내환경정보센터 운영 개선

가. 현황 및 문제점

실내환경 정보센터 구축 및 운영

◦ 실내환경 관련 정보에 대한 대국민 홍보를 위하여 홈페이지(www.iaqinfo.org) 구축 및 개설(‘06.1.1)

- 실내공기질 관련 기준 및 제도, 측정방법, 실내환경 관리방법, 실내환경 자료실, 실내환경 관련기관 등을 홍보

대국민 홍보 부족으로 인한 활성화 미흡

◦ 실내환경 관련 정보 제공 및 교류의 장으로서의 역할 미흡

국민들이 흥미를 가지고 접근할 수 있는 콘텐츠가 부족하여 이용자의 참여율 저조

실내공기질 관련 수록 정보 범위의 한계

◦ 일반인부터 전문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수준의 이용자에게 활용도가 높은 양질의 정보가 부족

전문적인 내용에 대한 체계적 관리와 즉각적 대응의 어려움

나. 개선대책

□ 홍보 및 운영 활성화 방안 제고

◦ 검색엔진 및 관련 사이트를 통한 링크, 언론매체 광고 등 적극적 홍보 추진

 

실내환경 관련 연구 DB 프로그램 구축, 어린이용 페이지 개설 등 새로운 콘텐츠 확충 및 제공 서비스 확대로 홈페이지 활성화

◦ 온라인 참여 이용자에 대한 수시 이벤트 개최 등 참여의식 고취

◦ 이용자 위주의 홈페이지로 개편

- 그간 이용자들의 불편사항 반영 및 여론 수렴 기능 강화를 통해 보다 쉽고 가까운 홈페이지로 개편

맞춤형 정보제공 기능 강화

다양한 최신 정보수록 및 정기적인 내용보완을 통한 정보수집·제공 기능 강화

수집된 정보를 전문가, 시설관리자, 일반인, 어린이 등에 맞춰 필요한 형태로 가공하여 제공하는 맞춤형 정보제공 추진

위탁기관과의 긴밀한 협조 강화

◦ 실내공기질 분야 전문 인력을 전담 배치하여 집중 관리

 

 

  

 

 

 

6-2

 

대국민 홍보 강화

가. 현황 및 문제점

실내공기질 관리지침서 및 홍보동영상 제작․배포

신축공동주택,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한 홍보 브로셔 및 동영상 제작․배포

- 다중이용시설 관리자, 신축공동주택 시공자 및 입주자로 구분하여 맞춤형 홍보자료 제작

실내공기질 관리방법에 대한 홍보 미흡

◦ 건축자재 및 생활용품 등 실내공기 오염원에 대한 홍보 미흡

◦ 실내공기질 문제 확인 및 해결방법 홍보 미흡

◦ 실내공기질 관리방안 관련정보 습득 통로 부족

나. 개선대책

□ 적극적인 대국민 홍보

친환경 및 성능인증제도 알림 및 관련 제품 사용 유도

◦ 실내공기질 관리의 중요성 및 방법 홍보

- 시설별 실내공기질 관리 지침서, 실내공기 오염물질별 방지 및 저감 지침서, 실내공기질 개선을 위한 생활수칙 등 제작․배포

◦ TV, 신문, 인터넷 등을 활용한 홍보매체 다양화

  ·

Issue : July-September 2002

Hospital HVAC Design : A Challenge for IAQ, Energy Recovery and System Reliability

By George Sze
Senior Consultant
(Mechanical Engineering),
CPG Corporation Pte Ltd, Singapore

Lek Siang Hwa
Vice President
(Mechanical)
CPG Corporation Pte Ltd, Singapore

Atul Mathur
Content Alive, Singapore

George Sze has 30 years of experience in HVAC consultancy. He is actively involved in energy conservation in buildings and is a member of the Technical Advisory Committee under Singapore's Environment Ministry that published the Guidelines on Good Indoor Air Quality in 1996. He is President-Elect, ASHRAE (Singapore Chapter) and can be contacted at george.sze@cpgcorp.com.sg

Lek Siang Hwa has 12 years consultancy experience in the HVAC design of hospitals, life science research facilities and tertiary institutions in Singapore and overseas. He has a Masters degree in Building Science from the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He can be contacted at lek.siang.hwa@cpgcorp.com.sg

Atul Mathur is a mechanical engineer with a master.s degree in Thermal Sciences from IIT Kanpur. He has 12 years of experience in HVAC contracting and consultancy. His firm, Content Alive, provides HVAC consultancy and technical writing services. He can be contacted at atulm@singnet.com.sg

This article is written from the perspective of consultants and does not cover any particular project but draws on authors’ experiences from a number of hospital projects completed in Singapore. The climatic conditions in Singapore are tropical with high humidity levels, much like coastal cities in India.

Human will to live healthy and longer lives and continued advances in medical science and technology have turned hospitals from merely buildings to sophisticated facilitie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diseases. HVAC system in a hospital assumes high significance due to its sensitive relationship with the health of the patients, caregivers and visitors. HVAC system is also important as the cost of its operations affects the cost of healthcare in a significant way. This article focuses on three important issues in hospital HVAC design: Indoor Air Quality (IAQ), energy recovery and system reliability.

Twin Views of a Hospital Facility

While designing a hospital HVAC system, designers have to hold twin views of the facility: one from the functional point of view and the other from the HVAC point of view. Both views, of course, are inter-related.

According to the ASHRAE, from the functional standpoint, a typical hospital facility basically comprises seven categories of areas:

– Surgery and critical care (operating room, delivery room, etc.)
– Nursing (patient rooms, intensive care unit, etc.)
– Ancillary (radiology, laboratories, etc.)
– Administration (offices)
– Diagnostic and treatment (examination room, therapy room, etc.)
– Sterilisation and supply (steriliser room, equipment storage, etc.)
– Service (kitchen, laundry, etc.)

The functional requirements dictate the HVAC requirements. The HVAC view, however, boils down to seeing all the spaces from the point of view of:
– Temperature and humidity
– Ventilation
– Pressure relationship with surrounding spaces
– Air cleanliness level
– Air distribution
– Operating hours
– System reliability

Proper understanding of both functional and HVAC views of each and every space is the foundation for a successful HVAC design.

[top]

Hospital IAQ challenge

Perhaps nowhere is Indoor Air Quality (IAQ) as critical as in hospitals. In the hospital context, IAQ aspect is more than just the promotion of comfort. In many cases, proper IAQ is a factor in patient recovery and in some instances, it is the major treatment.

At present, Singapore does not have its own standard for hospital IAQ and adopts recommendations of ASHRAE or HTM (Health Technical Memorandum, a publication of Department of Health, UK) or both. Table 1 shows temperature and humidity requirements for four most critical areas of a hospital.

While temperature and humidity requirements are important in hospitals, it is the issue of crosscontamination and bacterial concentration that assume critical importance in HVAC design. The fundamental reason behind this is the presence of airborne pathogens that can create havoc by infecting healthy people, and complicating recovery of patients.

Table 1 : Temperature and humidity requirements in hospitals
Standards ASHRAE HTM Singapore ASHRAE HTM Singapore
Room Temperature (°C) Relative Humidity (%RH)
Operating Theatres
17~27
15~25 19- 21 45~55 40~60 50~60
Intensive Care Unit 24~27 - 22-23 30~60 - 55~65
Wards (airconditioned) 24 - 22~23 30~60 - 55~65
Isolation Ward 24~27 - 22~23 30~60 - 55~65

Airborne Pathogens

Pathogens are any disease-causing microorganism, which fall into three major taxonomic groups: Viruses, bacteria, and fungi. The single most important physical characteristic of airborne pathogens is their size, as it directly relates to the filtration efficiency and their ability to stay airborne. Preventing airborne transmission of diseases through pathogens is one of the key challenges for HVAC system design in hospitals.

Contagious viruses and bacteria come almost exclusively from humans and their path of transmission is return air. Spores and environmental bacteria may enter from the outdoors, but once growth (amplification) occurs indoors they may appear in the return air at higher levels than in the outdoor air. Spores can initially enter a building by various routes, including inlet air or infiltration, or they may be brought in with building materials, carpets, clothes, food, pets, or potting soil. once spores germinate and growth occurs in an AHU or anywhere inside the building, new spores may be generated and appear in the return air. Filters may intercept spores, but moisture may cause them to "grow through" the filter media.

The risk of infection is proportional to the concentration of pathogens. The risk of infection is linked not only to the purity of the air, but also to the air distribution patterns that should shield a wound site by forming a protective layer.

Strategies for Maintaining Hospital IAQ

Typically, the strategies available for controlling the spread of airborne pathogens include dilution through ventilation, filtration, ultraviolet germicidal irradiation (UVGI), air purging and isolation through pressurisation control.

UVGI has not been applied so far in Singapore hospitals due to concerns about its reliability. There is, however, growing interest and trend towards adopting it. It offers advantages in terms of offering alternative to HEPA filters for non-critical areas (areas other than OT), providing an added layer of protection when used with HEPA filters and also helping to prevent growth of algae, etc., in the AHU drain pan.

Increased ventilation rates reduce the overall concentration of pathogens. ASHRAE recommends ventilation rates in accordance with ASHRAE Standard 62, Ventilation for Acceptable Indoor Air Quality. Each project, however, may have specific ventilation rate requirements that may differ from ASHARE. Table 2 shows ventilation rates for four most critical areas of a hospital.

[top]

Table 2 : Ventilation requirements in hospitals
Standards ASHRAE HTM Singapore
Room Minimum no. of air changes/hour
Operating Theatres
15 20 20
Intensive Care Unit 6 15 15
Wards (airconditioned) 4 - 15
Isolation Ward (air-conditioned) 6 - 15

For one of the hospitals, the concept of air purging was employed for maintaining IAQ in private air-conditioned wards. Under this arrangement, once the patient is discharged, the foul air trapped inside the room is purged by simply opening the windows and stepping-up the speed of the toilet exhaust fan (2-speed fan). The foul air is extracted out of the room through the toilet and discharged externally. The room air is completely replaced with clean and fresh air before the next patient moves in. During the purging mode, air-conditioning to the room is shut off to avoid condensation. With this arrangement, IAQ in the room is improved without additional equipment since every attached toilet and bathroom is provided with a mechanical ventilation system.

As mentioned earlier, there is a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 filtration efficiency and the size of pathogens that need to be arrested. Studies have shown a relationship between improved air filtration and viable pathogen concentrations and patient infection rates.

Proper pressurisation, to prevent exfiltration/ infiltration of pathogens, is an absolutely essential strategy for many of the critical areas in a hospital. But, there can be significant energy penalties for increasing ventilation to maintain the required pressurisation levels.

In addition to ventilation, filtration and pressurisation, air distribution assumes an import criteria for maintaining the IAQ.

How some of the above factors come into play can be seen in the design of the most critical room in a hospital: operating theatre (OT).

Fig.01 - Click to view clear picture
Click to view clear picture

[top]

Design of an Operating Theatre

HVAC system design for an operating theatre starts with a reminder of the following key objectives:
– To control the concentration of harmful bacteria;
– To prevent infiltration of less clean air into the operating theatre;
– To create an air flow pattern that carries contaminated air away from the operating table;
– To provide a comfortable environment for the patient and operating team;
– To ensure uninterrupted operations;
– To save energy.

The operating theatres are categorised as 'general' and 'ultraclean'. Ultra-clean OTs, used for procedures, such as, organ transplant, orthopaedic surgery, neurosurgery, etc., where bacterial contamination is relatively more critical.

Table 3 : Design parameters for operating theatres
Design parameters General Ultra-clean
1. Temperature
2. Relative Humidity
3. Bacterial count
4. Supply air velocity at the operating table
5. Fresh air (no recirculation)
6. Total number of air changes
7. Pressurisation
8. Filtration efficiency
9. Supply air discharge area
20±1 °C
55±5%
<35 cfu/m3
0.38 m/s
20 air changes/hour
20 air changes/hour
+25 Pa
99.997% at terminal
2.4m x 1.8m
20±1 °C
55±5%
<10 cfu/m3
0.38 m/s
20 air changes/hour
>300 air changes/hour
+25 Pa
99.997% at terminal
2.8m x 2.8m

Table 3 shows basic design parameters for HVAC design of an OT.

Figure 1 shows a schematic diagram for HVAC system for a general OT. The system used is CAV (constant air volume) type. The fans, both on the supply and exhaust side, however, are provided with Variable Speed Drive (VSD). The VSD basically helps to maintain the flows against varying static (filter clogging, etc.) and also for set back for unoccupied hours. The supply air passes through an energy wheel before treatment by a dedicated set of AHUs. The treated air is supplied through terminal HEPA (99.997% efficient) filters. In the past, the return air was collected through return air openings provided near the floor level at the four corners of the OT. The current designs, however, are allowing the return air to be collected from the adjacent rooms. This change stems from the fact that there was practically very little return air collection within the OT and most air was exfiltrating to the surrounding rooms, basically to maintain the pressure differential. In addition, the practice of collecting return air from the OT itself was prone to infiltration of outside air when the OT doors were opened for any reason. OTs are provided with relief dampers for maintaining positive pressure. The humidity is maintained by using heaters.

Unlike general OT, an ultra-clean OT allows recirculation of air within the OT. The return air for these OTs passes through 80- 90% efficiency filters before passing through 99.997% efficient terminal HEPA filters and discharged vertically to provide a laminar downflow pattern. The low turbulence downward airflow combines the effect of both, air dilution and room air displacement.

Besides operating theatres, the others areas of the hospital, which require similar control of the aseptic conditions are the postoperative recovery rooms, ICUs, burn wards, isolation units. Other areas, which require high rates of ventilation and pressurisation control are radiology department, laboratories, infectious disease and virus laboratories, autopsy rooms and animal quarters.

Fig.02

[top]

Energy Recovery

In today's competitive world, saving lives and providing high quality medical services are not the only parameters for the success of a hospital. Energy efficiency is a major factor in hospital's financial well-being and eventually its affordability for the patients. Energy efficiency is a broad term, which includes strategies such as using efficient chillers within their most optimum performance zone, using variable speed drives for pumps and air handling units, maximising areas with natural ventilation, etc. one of the strategies, however, is to recover waste energy. Energy recovery has been found to be an effective way of saving energy cost and the following discussion pertains to the practices that have been successfully used for hospitals in Singapore.

An energy analysis of a 800 bed hospital (120,000 sq. m gross floor area, 2 basements, 9 storeys) showed that the energy cost for HVAC system was about 50% of the total energy cost of the hospital (Fig 2). The total energy cost included, besides HVAC, cost for other systems, such as, lighting, power (medical equipment, office, etc.), lifts, fire, sewage, gas, etc.

For the same hospital, it was calculated that about 70% of the total HVAC cost was due to the chiller plant - chillers, pumps and cooling towers. The high concentration of energy in the chiller plant necessitates consideration of using a heat pump system for recovering condenser heat for heating domestic water. Such a system was recently used for a hospital where two heat pumps were coupled to the condenser water circuit from the chillers. With this arrangement, the waste condenser heat is reclaimed to generate sufficient hot water for the whole hospital. Boilers are not required as a result.

For the same hospital, it was identified that operating theatres (total 14 in number, 2 ultra clean and rest general type) alone contributed about 200 TR air-conditioning load, which was slightly less than 10% of the overall load (2250 TR). Again, it shows that energy recovery from the operating theatres is also an important area to focus on as part of the overall energy efficiency efforts.

Energy recovery wheel or enthalpy wheel, which can recover both sensible and latent energy, has been used for the operating theatres. The wheel, installed upstream of supply air AHU, recovers energy by allowing transfer of heat (sensible and latent) from the outdoor air to the exhaust air. To get an idea of the performance just in terms of the sensible energy, the outdoor air can be expected to cool from 32°C to 26°C when passing through the wheel and transferring energy to the exhaust air (typically at about 21°C).

System Reliability

HVAC system reliability in hospital context is a very important issue. Unreliable systems can lead to highly undesirable situations, such as, cross-contamination, high temperature, high humidity, etc. Apart from selecting reliable equipment and following proven practices, providing standby HVAC equipment is a crucial element of the overall system reliability.

While deciding the extent of standby HVAC equipment, one invariably has to strike a balance between ensuring required level of system reliability and keeping the capital cost down. The following discussion provides insight on the practices used for ensuring system reliability for chiller plant and air-handling system for hospitals in Singapore:

Table 4 : Chiller plant configuration for n+1+1 reliability
Item Data
Background Information
– 800 bed hospital
– 2 basements, 3 storeys podium and 6 storeys tower block (total 9 storeys)
– gross floor area: 120,000 sq. m
(approx.)
Key input data/considerations – estimated block load: 2250 TR
– estimated night load: 600 TR
– peak chiller efficiency: at about 70%
– configuration desired: n+1+1
Chiller configuration used – 6 x 750 TR water cooled centrifugal chillers
– 6 sets of matching pumps and cooling towers

[top]

Chiller Plant

Chiller plant is the heart of an HVAC system. The configuration adopted for the chiller plant (chillers, pumps and cooling tower), as elaborated in Table 4, for one of the recently constructed hospitals in Singapore is n+1+1. The objective behind this arrangement is to ensure 100% system availability in the event when one piece of equipment (chiller/pump/cooling tower) is under preventive maintenance and one more piece of equipment is under breakdown.

With the above arrangement, at the most 4 chillers will be working with 2 chillers remaining as standby.

Air Handling System

The reliability of air handling system is critical for areas like operating theatre (OT), intensive care unit (ICU), radiology lab, etc. The standby provision ranges from 100% standby AHU to merely providing a standby motor.

The practice used for OT is to provide two AHUs in parallel with each rated at 75% of the total requirement. Both would work under normal circumstances. In the event of a failure of one of the AHUs, the other AHU would be capable of supporting OT, though at a reduced performance level (75%). The fans for exhausting the OT air are also configured on the same lines. This arrangement, though not ideal, seeks to balance the conflicting needs of highest reliability, smallest plant foot print and lowest cost. It also serves a very important purpose,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OT, which is to ensure uninterrupted airconditioning/ ventilation.

An alternative to providing a complete standby AHU is to provide only the standby motor for the AHU. For areas like, ICU, radiology, etc., this approach has been adopted which shields against prolong break in airconditioning due to the breakdown of AHU motor. Unlike parallel AHU configuration, the areas served with this arrangement would be prone to interruption in air-conditioning supply, even though it may be for small periods - the time required for replacing an AHU motor. The main advantage of this arrangement is saving on space and, of course, cost.

Conclusion

HVAC system design for a hospital is a challenging undertaking. It involves deep appreci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formance of HVAC system and the health of patients, care givers and visitors. So, IAQ is of prime importance. Besides IAQ, energy recovery and system reliability demand special attention. A well-rounded HVAC design would adopt without compromise all the proven practices and principles for these three pillars of hospital HVAC design.

References:
  1. 1999 ASHRAE Handbook: HVAC Applications
  2. Health Technical Memorandum 2025
  3. Manufacturers'/suppliers' catalogues and literature

[top]


디퓨져 10개중 유독 하나만 바람이 넘 강해서 머리카락이  날릴 정도인데

 

이유 및 해결방법좀 고수들이 답변좀 바랍니다.

 

지하절  안에서 이런경우 종종있는데 제가 근무하는곳은 유통쪽이라 민원이 계속 들어오네요.

 

막는방법말고 현명한 방법좀..........

 

답변

공조기 덕트를 전제하에 말씀 드리면...

 

에어디바이스의 설치는 Main Duct에서 취부를 하지 않습니다.

 

반드시 Main Duct 에 VD-볼륨댐퍼-를 취부하여 Branch 덕트를 연결한 후 에어디바이스를 취부 합니다.

그래야만 각각의 Branch Duct의 발란싱이 가능하기 때문 입니다.

 

열개의 중 한개는 Main Duct에 취부 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간혹 후렉시블 거리 때문에 메인덕트에 취부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 대한 교육이 전혀 되어 있지 않은 대한민국 공조덕트 업계의 고질적 문제중 하나 입니다.

 

확인해 보신후 취부 위치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추신: 별도의 댐퍼를 설치 하거나 하시면 소음이 많이 발생 됩니다.

2003년 1월 4일 카페 개설하여

오늘이 벌써

8년차에 접어드는 날 입니다.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고 하더니...

"덕트국가기술자격제도"를 꼭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오늘날 덕트업계를 더 이상 방치 하면 마지막 남은 희망의 싹 마저 사라져 버릴듯한 위기감에서

개설한지 벌써 8년차에

2,400여 회원에

600여 우수(등)회원에

20여회 덕트설계실무교육에

70여명의 교육이수회원님들이 덕트엔지니어링 능력을 지니시게 되었습니다.

수 많은 시행 착오와 카페를 이용하려는 수 많은 이들로 인한 실망과 배신감등으로 참으로 갈등도 많았습니다.

그러나, 열심히 노력하는 많은 후배님들을 보면서 새로운 희망과 가능성을 함께 하게 된 여~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카페 개설이후

2004년 부터 시작된 1차 공기질 정책이

새로운 열회수환기시장을 형성하기에 이르렀고

엔지니어링이 거의 필요치 않았던-단순기능만으로 유지 되오던- 덕트업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고

드디어는

실내공기질 관리라는 대명제 앞에 hvac 관련업체와 관련사업자를 비롯하여 많은 이들이 새로운 가능성을 가진

사업분야로 참여하기 시작하였으며

이제는

실내환경 이라는 커다란 이슈가

2009년도 부터 시작된 제 2차 공기정책에 힘입어 더욱 더 발전과 확산이 될 것 입니다.

 

그동안 공기질 정책의 변화로

카페 개설초기의 [덕트국가기술자격증] 절대 필요하다! 란 구호는 이미 그 의미를 상실했고

실내환경을 구성하는

온,열 환경과 습도제어와 환기, 실내오염물질의 정화와 배출처리등의 모든요소가

에너지제로 라는 녹색환경과 녹색성장이라는 대명제 속에서 관련기술이 융,복합 되어가는 환경으로 변하고 있는것 입니다.

 

이러한 변화된 실내환경에서의 덕트의 역활과 기능을 어떻게 다른 기술과 접목하여 나갈 것인가? 란

공동의 과제에 어떻게 대처해 나 갈 것인가? 가

앞으로 [덕트사랑] 회원의 주된 관심사가 아닐 수 없습니다.

 

[덕트사랑] 2010년의 과제는

1. 전국네트워크 구성완료 3개년 목표로 1차년 계획으로

    각 지역방 정모와 번개의 활성화를 최소한 4개 지역권 이상 이뤄졌으면 합니다.

2. 제1차 덕트엔지니어링 관련 워크샾을 갖고자 하는것 입니다.

3. 보다 발전된 학습프로그램 교육을 정례화 하는것 입니다.

 

이상의 2010년 과제가 성공리에 이뤄진다면

1. 덕트공사의 분리 발주를 위한 계획과 홍보, 실천이 가능해 질 수 있으며

2. 스스로 자격제도를 실시하여 업계의 잘못된 편견으로 인한 폐해를 줄일 수 있으며

3. 새로운 시장의 새로운 주역으로 발 돋움 할 수 있으리라 생각 합니다.

 

2010년 경인년 새해를 맞이하여

그간의 소회와 비젼을 함께 하고자 합니다.

 

2010년 1월 4일 카페 개설일에 생각을 정리 하면서...

질문:

안녕하십니까!!

반도체 현장에서 근무중인 초보입니다 ㅠ

다름이 아니고..

저희 현장에선(이게 표준인지 모르겠습니다..)

열배기 - H/G  혹은 R.E.C

긴급배기 - E.M.E.R

유기배기 - O.R.G로 쓰고 있습니다.

타 현장 근무 경험이 없고.. 이런거 좀 물어보기 곤란하더라구요..

부탁좀 드리겠습니다 특히 H/G, R.E.C 차이가 무엇인지 정말 궁금해서

밤잠을 설칩니다 ㅠ.ㅠ 부탁좀 드리겠습니다 ^^

아 그리고 하나 더..

고바이, 구찌 의 정식 명칭은 없는것인지요? ㅠ

업체 카다록을 봐도.. 고바이 구찌로 표기가 되어 있더군요 ㅠ

 

답: 

덕트는 크게 두가지로 구분됩니다
첫번째 급기덕트(supply air duct)로 덕트 관 내부에 팽창 압력이 작용되는 덕트를 말 합니다.
두번째는 배기덕트(exhaust air duct)로 덕트 관 내부에 흡입 압력이 작용되는 덕트를 말 합니다.
이렇게 두가지 종류의 덕트가 각 시스템의 어떤 구간에 사용되는냐에 따라 그 명칭을 좀더 세분하여 표기 합니다.

예를 들어 공조에서 외기(OA)/급기(S.A)/회수(RA)/배기(EA) 등으로 구분 합니다.
여기서 외기(0A)는 자연상태 그대로의 공기를 말하고,
급기(SA)는 사용목적에 따라 인의적으로 가공된 공기를 말 합니다.
회수또는 리턴(RA)는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한번 사용한 공기를 재사용하는 공기를 말 합니다.
배기(EA)는 재사용하기에 부적합한 공기를 말합니다(예,화장실배기, 주방후드배기, 기타 생산공정중에 발생한 오염된공기 등)
 
클린룸 덕트는
생산제품과 공정에 따라 발생되는 오염원이 각각 다름니다.
따라서 배출되는 오염된 공기를 적절하게 처리하여 안전한(대개 관련법이 적용됨) 상태로 처리하여 배출 하게 됩니다.
그럴때 붙여지는 이름이 공정이나 배출물질, 상태에 따라 각각 붙여지고, 앞 글자 영문이니셜을 사용하기 때문에
여러가지 이름을 붙여 사용합니다.
그리고 그러한 세부 명칭은 설계시 도면에 기호와 함게 일괄 정리하게 되어있으니 도면의 맨 앞머리 장비 일람표 전,후에
표기 되어 있으니 쉽게 이해 하실 수 있을것 입니다.
 
반도체 제조공정과
LCD 제조공정에서 사용되는 케미컬과 제조 공저이 다르기 때문에
사용 용어도 각각 다를 수 있습니다.
 
고바이, 구찌는 일본말 이고
우리말로는 적당한 표준이 없는 형편 입니다.
고바이는 직관 형태를 하면서 곡관이 아닌 형태를 말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네듀셔 또는 확관 줄임관로 이해 하시면 될 듯 합니다.
구찌는 스핀인(Spin-in) 소켙 등으로 표현 합니다.
주 덕트나 분기덕트에서 디퓨져와 후렉시블 연결 부위에 사용 됩니다.
 
 
우선, 시방서를 먼저 공부 하시도록 하세요-초심자  필수사항- 
우수공부방 자료실에 있으니 승급 신청하셔서 공부 하시도록 하세요.

시공 완료된

 

산후조리원의 덕트 소음문제로 방문해 보니.

 

실내환경에 대한 지식이 전무한 이들의 합작품이 멋지게(?) 설치 되어 있었다...

 

결론은 "노가다는 무식하다" = "덕트공은 무식하다"라고 하는 쥔장의 말씀에...

 

"이와 같은 결과는 소비지의 잘못이 더 큼니다!" 라고 답변을 했다.

 

물론 큰 돈을 들여서 오픈을 했는데,

소음 문제로 영업이 불가한 방이 발생하니 얼마나 짜증이 나겠는가...

 

나름 문제를 해결해 보려고 여러 업체를 불러서 처방을 받아봐도, 도저히 믿음이 안간다는 것이다.

 

아는 많큼 들리고,

볼 수 있는게 세상이치임엔 틀림이 없는 것이다.

 

비용의 많고 적음의 기준을 어디다 두는가, 바로 이게 문제고,

경험보다 좋은 스승은 없을것인데...

중병이 들어 명의를 만나는 것도 다 자신의 복이리라...

 

방문 업소 근처 거래처 방문길에 다녀가는 길이라...

출장비는 50,000원을 사전에 청구 했었다.

 

문제의 처방을 내리는데 비용은 30만원은 받아야 할 것 인데...

현장을 보고 문제점 정도만 알려 주면 되는 일이라(사전에 협의)...

 

단순한 기능을 가지고 엔지니어링  부분을 논 하는 자체가 어불성설 인것을 모두가 알아야 한다.

 

기능공 범위를 벗어나지 못하는 이들에게 엔지니어링 컨설팅이 필요한 진단과 처방을 요구하려면

그만한 안목과 합당한 비용을 지불할 자세가 먼저 이지 아닐까 한다.

 

본인이 단순한 기능공 수준을 넘지 못하면서 "설계, 시공' 운운 한다면 이건 사기다!

 

그동한 소비자들은 수 많은 사기꾼들에게 호된 학습을 하고 있고

비용을 앞세워 사기꾼이 될 수 밖에 없는 구조를 만드는 도적놈들이 공사 발주를 하고 있으니,

하루 아침에 도적놈들과 사기꾼들을 어떻게 뿌리 뽑을수 있을까만은...

 

스스로 경계를 하여 내가 사기꾼이 되어가는것은 아닌지 경계하고,

부지런히 학습에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하며,

도적놈들에 휘둘려서 본의 아니게 사기꾼이 되어서는 절대 아니되는 것을 정말로 삼가 할일이다.

 

더욱 한심한 일은 도적놈인줄 알면서 적당히 타협하는 발주자들의 의식도 많이 바꿔져야 할것이고,

제값받고 제대로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는 이들이 강도처럼 생각하게 만들기에...

그러한 이들이 도적놈이요 사기꾼 인 것이다.

 

 

출처 : 덕트사랑
글쓴이 : 윤흥수[수원61]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